직장인 연말정산 시 배우자 배당소득 있는 경우
외벌이 직장인 분들 중에 배우자가 주식 배당금 등 금융 소득이 있는 경우 연말정산을 어떻게 해야 되나 고민이실 거예요. 그래서 배우자가 금융 소득이 있는 경우 기본공제 가능 여부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
배우자 기본공제 가능 여부
외벌이 직장인 부부 중 일을 하지 않는 배우자의 기본공제가 가능한 한도는 금융 소득 2천만 원까지입니다. 그 이유는 금융 소득 2천만 원 이하는 분리과세를 하고, 2천만 원을 넘는 금액에 대해서는 종합소득세로 과세가 되기 때문이에요. 그래서 조절이 가능하다면 금융 소득 2천만 원 이하로 맞춰서 설정을 해두는 것이 세금적으로 이득일 수 있습니다.
주식 배당금이 2천만 원 넘으면 어떻게 해야될까?
하지만 2천만 원이 크다면 크지만, 어느 정도 돈을 모으고 계신 분들에게는 엄청나게 큰 금액이 아닐 수 있는데요. 그렇다면 배당금액을 2천만 원 이하로 맞추는 방법 말고, 어떤 방식으로 절세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- 명의 나누기
- ISA 계좌 등 비과세 상품으로 투자하기
- 서로 다른 상품의 경우, 금융 소득 발생 시기 조정하기
우선 가족 명의로 나눠서 투자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부부 각자의 명의로 나눠서 투자를 하면, 금융 소득 2천만 원보다 더 큰 금액을 금융 소득으로 받아도 배우자 기본공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여기에 자녀가 있다면 자녀 계좌로 투자를 해주신다면 조금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할 수 있게 됩니다.
두 번째는 ISA 계좌와 같이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으로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. 65세를 넘으신 분들은 전액 비과세 혜택을 주는 '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'라는 상품이 있는데, ISA보다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을 이용하시면 조금 더 혜택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. 65세 이하이신 분들은 ISA 계좌를 통해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보실 수 있으니,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이 외에도 한 가지 상품이 아닌 다양한 상품에 투자 중이시라면 금융 소득 시기를 이월하여, 한 해에 받는 금융 소득을 2천만 원 이하로 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. 각자의 상황에 맞춰 위에 말씀드린 방법을 적용한다면, 작은 금융 소득으로 배우자 기본공제를 받지 못하는 억울한 경우를 피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
두 번째는 ISA 계좌와 같이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으로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. 65세를 넘으신 분들은 전액 비과세 혜택을 주는 '비과세 종합 저축 계좌'라는 상품이 있는데, ISA보다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을 이용하시면 조금 더 혜택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. 65세 이하이신 분들은 ISA 계좌를 통해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보실 수 있으니,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이 외에도 한 가지 상품이 아닌 다양한 상품에 투자 중이시라면 금융 소득 시기를 이월하여, 한 해에 받는 금융 소득을 2천만 원 이하로 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. 각자의 상황에 맞춰 위에 말씀드린 방법을 적용한다면, 작은 금융 소득으로 배우자 기본공제를 받지 못하는 억울한 경우를 피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.